“공상집단 뚱딴지”는 매해 정기공연과 다수의 워크숍, 페스티벌 초청, 자체 제작공연과 소외계층 순회 사업, 거리공연을 통해 적극적으로 연극의 예술성과 함께 공공성을 지닌 공연을 지속적으로 개발하였습니다. 대극장과 중·소극장을 아우를 수 있는 인력과 테크니컬 팀이 조직되어 있으며, 다수의 레퍼토리 공연을 보유하고 있습니다.
“공상집단 뚱딴지”는 인류 전반을 아우르고 있는 보편적 관념을, 진지하면서도 유쾌하게 그려나가며, 희곡 속에 숨겨진 연극다움을 관객에 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매 공연마다 과감한 연극적 언어를 통해 실험성과 대중성을 동시에 모색하고자 합니다.
연도 | 활동내역 |
---|---|
2019 | 제주해비치페스티벌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문화예술단체상 |
2017 | 올해의 연출가상 “문삼화” |
서울연극제 연기상 "김재건“ <지상 최후의 농담> | |
2016 | 제4회 서울연극인대상 대상<환영>, 연기상 “김 설_환영 윤영 役”, 스텝상 “김혜지_환영, 후산부동구씨 外” |
2015 | 제3회 서울연극인대상 희곡상 <지상 최후의 농담> |
2014 | 제16회 김상열연극상 “문삼화” |
부산국제연극제 Go World 부문 우수상<런닝머신 타는 남자의 연애갱생 프로젝트> | |
밀양연극제 무대예술상 <런닝머신 타는 남자의 연애갱생 프로젝트> | |
2016 | 2인극 페스티벌 연출상 <G코드의 탈출> |
연도 | 활동내역 |
---|---|
2020 | 22회 정기 공연 “밤이면 나는 우주로 간다” (마포아트센터 스튜디오3) |
2019 | 마포문화재단X공상집단 뚱딴지 스튜디오 프로젝트 PART5 “런닝머신타는 남자의 연애갱생 프로젝트” (마포아트센터 스튜디오3) |
21회 정기 공연 “코뿔소” (마포아트센터 플레이맥) | |
마포문화재단X공상집단 뚱딴지 스튜디오 프로젝트 PART4 “빨간도깨비” (마포아트센터 스튜디오3) |
|
마포문화재단X공상집단 뚱딴지 스튜디오 프로젝트 PART3 “여름과 연기” (마포아트센터 스튜디오3) |
|
마포문화재단X공상집단 뚱딴지 스튜디오 프로젝트 PART2 “모빌” (마포아트센터 스튜디오3) |
|
20회 정기공연 “거리의 사자” (마포아트센터 플레이맥) | |
한국문화 예술위원회 신나는 예술여행 “런닝머신 타는 남자의 연애갱생 프로젝트” (연간 군부대 10회 순회 공연) |
|
마포문화재단X공상집단 뚱딴지 스튜디오 프로젝트 PART1 “애니깽” (마포아트센터 스튜디오3) | |
무죽 페스티벌 “건축사와 아씨리 황제” (극장 동국) | |
제 2회 우리 극작가 마주보기 박조열 희곡 낭독회 - 분단을 말하다 “흰둥이의 방문” (예술공간 서울) | |
2018 | 앙코르!“바람직한 청소년” (소극장 혜화당) |
제 1회 홍해성연극제 초청작 가족음악극 “이솝우화” (대구 소극장 우전) | |
“여름과 연기” (상명아트홀2관) | |
김상열 20주기 기념 낭독공연 페스티벌 ‘그때 김상열’ “애니깽” (선돌극장) | |
밀양푸른연극제 젊은 우수연극 초청작 선정 “바람직한 청소년” (밀양 우리동네 극장) | |
19회 정기공연 “안녕, 아라발!” (마포아트센터 플레이맥) | |
18회 정기공연 가족음악극 “이솝우화” (마포아트센터 플레이맥) | |
17회 정기공연 “후산부, 동구씨” (마포아트센터 플레이맥) | |
16회 정기공연 “바람직한 청소년” (연우소극장) | |
15회 정기공연 창작산실 올해의 레퍼토리 “지상최후의 농담” (선돌극장) | |
2017 | 거리예술시즌제 가족음악극 “이솝우화” (동대문DDP 서울로 7017) |
한국문화 예술위원회 신나는 예술여행 “런닝머신 타는 남자의 연애갱생 프로젝트” (연간 군부대 12회 순회 공연) |
|
DIY 연극워크숍 발표회 “코뿔소” (아이들극장) | |
권리장전 국가본색 “소년소녀전투헌장” (연우소극장) | |
윤영선작가10주기기념 윤영선페스티벌 “사팔뜨기 선문답” (선돌극장) | |
신입단원 워크숍 “모든건 타이밍” (서강대 메리홀) | |
2017 종로구 거리 예술 “댓글전쟁” (대학로 소나무길) | |
제38회 서울연극제공식선정작 앵콜공연 “지상 최후의 농담” (수현재씨어터) | |
14회 정기공연 “지상 최후의 농담” (아르코소극장) | |
13회 정기공연 제4회 서울연극인대상 대상수상기념 앙코르 “환영” (선돌극장) | |
앙코르 산울림고전극장 가족음악극 “이솝우화” (경의선 책거리 야외무대) | |
산울림고전극장 가족음악극 “이솝우화” (산울림 소극장) | |
창작산실 우수작품 “소나기마차” (동숭홀) | |
2016 | 제2회 DIY연극 워크숍 발표 “이솝이야기” (아이들극장) |
권리장전 검열각하 “대한국사람” (연우소극장) | |
무대로 만나는 소설 12회 정기공연 “환영” (선돌극장) | |
크리에이티브마인즈 공간지원 “후산부, 동구씨” (CJ azit 대학로) | |
“밥” (홍대CY씨어터) | |
수현재10분극장 “sure thing/하루살이” (수현재옥상) | |
앙코르 산울림고전극장 “프로메테우스” (산울림소극장) | |
제3회 홍대문화관광축제 “댓글전쟁” (홍대거리) | |
제7회 현대일본희곡낭독공연 “오사카 맥베스” (남산아트센터) | |
창작산실 우수작품재공연 “맘모스해동” (동숭아트센터 소극장) | |
산울림고전극장 “프로메테우스” (산울림소극장) | |
2015 | 한국문화 예술위원회 신나는 예술여행 “런닝머신 타는 남자의 연애갱생 프로젝트” (연간 군부대 14회 순회 공연) |
제15회 2인극페스티벌 “맴” (22아르코 소극장) | |
12회 정기공연 “지상 최후의 농담” (선돌극장) | |
11회 정기공연 유씨어터 개관15주년 기념공연 “모든건 타이밍 2” (유시어터) | |
극단 워크숍 공연 “제주를 바치는 여인들” (소극장 혜화당) | |
신입단원 워크숍 “기억의 체온” (서강대 메리홀) | |
특별기획공연 “비잔틴 레스토랑” (혜화동1번지) | |
2014 | 10회 정기공연 창작산실 우수작품제작지원 “맘모스 해동” (설치극장 정미소) |
제5회 대전국제소극장연극축제 “런닝머신 타는 남자의 연애갱생 프로젝트“ (소극장 고도) | |
9회 정기공연 서울문화재단 예술창작지원 “봄은 한 철이다” (선돌극장) | |
8회 정기공연 “런닝머신 타는 남자의 연애갱생 프로젝트” (연우소극장) | |
제14회 밀양여름공연예술축제 “런닝머신 타는 남자의 연애갱생 프로젝트“ (스튜디오극장) | |
제11회 부산국제연극제 “런닝머신 타는 남자의 연애갱생 프로젝트“ (레몬트리 소극장) | |
제1회 여성극작가전 “그때 그 사람들” (알과핵 소극장) | |
2013 | 제 7회 정기공연 “런닝머신타는 남자의 연애갱생 프로젝트” (연우소극장) |
제1회 여성극작가전 “그때 그 사람들” (알과핵 소극장) | |
2012 | 제12회 2인극페스티벌 “G코드의 탈출” (연우소극장) |
프로젝트 빅보이 “런닝머신 타는 남자의 연애갱생 프로젝트” (두산 스페이스111) | |
경기도 여성발전기금지원 “일곱집매” (연우소극장) | |
6회 정기공연 정보소극장 기획공연시리즈 “고령화가족” (정보소극장) | |
카치리-혜화동 다리 프로젝트 “비잔틴 레스토랑” (혜화동 1번지) | |
2011 | 5회 정기공연 앵콜 “콜! 고령화가족” (정보소극장) |
100 페스티벌 “바람이 들려준 이야기” (우석레퍼토리) | |
제7회 여성연출가전 “리어” (선돌극장) | |
4회 정기공연 서울문화재단 공연예술창작활성화 제작지원 “고령화가족” (정미소극장) | |
2010 | 제10회 2인극페스티벌 “팩토리왈츠” (연우소극장) |
3회 정기공연 “안녕, 피투성이 벌레들아” (선돌극장) | |
서울프린지페스티벌 “어머니” (서교예술실험센터) | |
2009 | 2회 정기공연 2009 서울문화재단 무대공연제작지원작 “언니들” (동숭아트센터소극장) |
제9회 2인극페스티벌 “칼슘의 맛” (연우소극장) | |
1회 정기공연 서울문화재단 예술표현활동지원작 “거리의 사자” (유씨어터) | |
“대왕의 약속” (고성군문화의집 3층) | |
‘이다’ 무대발견시리즈 “아름다운 답” (문화공관 이다2관) | |
2008 | 봄 작가, 겨울 무대 "다음 역" (아르코소극장) |
창단공연 “너 때문에 산다” (사다리아트센터 세모극장) |